아동행복지수
▲아동행복지수 결과 그래프.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옹호대표기관 초록우산어린이재단(회장 황영기)이 2023년 5월 5일 어린이날 101주년을 맞아 아동과 청소년의 일상 속 시간 균형을 분석한 ‘2023 아동행복지수 보고서’를 발표했다.

아동행복지수는 수면, 공부, 미디어, 운동 4개 생활영역으로 아동의 하루를 분석해 아동 발달 및 권리 관점에서 바람직한 수준으로 여겨지는 ‘권장기준 시간’ 대비 일상 균형 정도를 지수로 산출한 것이다.

‘2023 아동행복지수’는 2022년 11월부터 12월까지 총 6주 간 전국 초등학교 5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아동, 청소년 2,231명을 대상으로 한 자기기입 조사 및 시간일지를 근거로 작성됐다.

코로나19 이후 일상회복에 맞춰 진행된 이번 조사에서 2023년 아동행복지수는 4점 만점에 1.66점으로 2021년 1.68점, 2022년 1.70점과 비교했을 때 최근 3년 중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4개 영역 중 수면과 공부 영역에서 아동들의 과소 수면은 10.4%, 과다공부는 14.5% 증가했는데, 이는 적게 자면서도 공부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내며 권장시간 대비 불균형한 하루를 보내는 아동이 늘어났다고 볼 수 있다.

실제 4개 생활영역이 권장 시간 기준에 초과하거나 부족한 아동들은 권장시간 기준에 맞게 생활하는 아동들에 비해 행복감이 1.23점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점 만점인 아동행복지수를 중위 기준으로 구분해 상하로 구분해 보면, ‘2023 아동행복지수’에서는 행복지수가 낮은(하 집단) 아동이 전체 조사대상자의 87%로 압도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해당 아동들은 공통적으로 4가지 생활특성을 보이는데, 저녁에 혼자 밥을 먹는 비중이 더 높고, 집에 혼자 있는 것을 더 선호하고, 더 늦은 시각에 취침하며, 대면 활동보다 온라인에서 관계 맺고 활동하는 것을 더 익숙하게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불균형한 일상 속에서 혼자 하는 활동이 많아, 아동은 홀로 고립됐다는 느낌을 받기 때문에 행복감도 더 낮았다.

활동별 아동들의 행복감을 살펴보면, 아침과 저녁에 가족들과 함께 식사를 하는 아동들의 행복감은 7.38점인데 비해, 혼자 밥을 먹는 아동들의 행복감은 6.57점으로 0.81점이나 낮게 나타났다. 하교 후에 집에서만 시간 보내는 것을 선호하는 아동들의 행복감은 6.69점으로 그렇지 않은 아동들이 7.05점인 것보다 낮았다.

늦은 시각에 잠드는 아동의 행복감은 6.7점으로 그렇지 않은 아동이 7.08점인 것보다 낮았고, 직접 사람과 소통하는 대면활동을 하는 데 많은 시간을 쏟는 아동들의 행복감은 7.33점으로 미디어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쏟는 아동들의 6.72점보다 높았다.

충동적 자살생각, 우울·불안을 느끼고, 보호자로부터의 방임과 정서학대를 경험했다고 대답한 아동도 매년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늦게 자고, 집에 있는 것을 선호하고, 저녁에 혼자 밥을 먹는 아동들의 자살생각 경험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각각 4.9%, 4.7%, 4.7% 더 높았다.

이렇듯 다양한 이유로 스스로 행복하지 않다고 느끼는 아동의 행복한 일상을 보장하기 위해 재단은 자유롭게 뛰놀고, 편히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아동의 기본 권리를 ‘아동기본법’을 통해 법제화하고, 가까이는 가족부터 넓게는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건강한 관계를 형성해갈 수 있도록 ‘수면일기 작성’, ‘자녀와 함께 저녁식사 및 온라인 미디어 활동 동참’ 등 생활과 밀접한 형태의 다양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2023 아동행복지수’ 심층분석 결과는 오는 5월 24일 재단의 ‘제23차 아동복지포럼’에서 보다 상세하게 안내할 예정이다.

초록우산어린이재단 황영기 회장은 “’2023 아동행복지수’는 오늘날 아동이 처한 현실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서 아동이 행복한 사회를 위해 매일 적정한 생활시간을 보장하고, 일상에서 누군가와 함께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며 “재단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아동지표로 아동정책 기준이 될 수 있도록 ‘아동행복지수’를 발전시킬 예정”이라고 밝혔다.